본문 바로가기

직업24

식품 재료의 종류와 선택 기준 2 식품 재료의 종류와 선택 기준 2 채소류는 해로운 성분을 함유하지 않은 식물의 뿌리, 줄기, 잎, 꽃 등 어느 것이나 식용할 수 있는 것을 일컫는다. 이들 채소류는 원산지와 전파된 경로 및 재개 역사가 다양하고 그 종류와 품종 또한각양각색이다. 채소류의 재배특성은 대부분봄철과 가을철에 생육하고여름철에는재배되지 않았으나, 최근에는 급격한 경제 발달 및 생활 수준의 향상으로 인하여 신선한 채소류의 수요가 증대됨에 따라 온실 등을 이용한 촉성 재배, 억제 재배 등으로 연중 재배가 가능하게 되었다.잎 줄기채소는 즐기나잎을 사용하는 채소류로서 배추, 양배추, 시금치, 상추, 파, 부추, 쑥갓, 미나리, 아스파라거스,셀러리등이 있다.뿌리채소류는뿌리를 이용하는 채소류로서 무, 당근, 양파, 연근, 토란, 우엉, 파,.. 2024. 2. 6.
식품 재료의 종류와 선택 기준 1 식품 재료의 종류와 선택 기준 1 식품 구매자들은 각 급식소의 메뉴화 생산 계획에 따라 식품 재료를 구매하게 되는데, 동일한 식품이라 할지라도 산지 및 출하 시기 등에 따라 재료의 특성이 달라지고 그 질과 크기에 따라 등급과 가격이 다양하다. 그러므로 구매자는 식품 재료의 종류와 특성을 파악하고 각 식품의 표준 거래 단위 및 상품 선별 능력을 갖추어 식품 재료의 용도에 따라 적합한 크기와 등급 및 품질을 선택해야만 구매 업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식 육류, 수입 육류, 수산물, 채소류, 과일류, 곡류, 두류, 서류 및 특용 작물 등의 식품 재료에 관한 상품 형태 및 특성, 등급 및 표준 거래 단위, 품질 판정 기준 등에 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식육이란 식품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동물의 조직을 .. 2024. 2. 6.
재고 관리 기법 재고 관리 기법 급식소의 규모가 커짐에 따라 사용되는 식품 및 기타 품목 수가 다양해지므로 재고 관리와 통제는 더욱 복잡해지면서도 중요한 문제로 부각되기 위해 시작하였다. 그러므로 다양한 관리 기법이 출현 되어 급식 관리자가 재고의 수준과 재고의 비용을 고려하여 식품 구매에 관한 의사 결정을 내리는 데 도움을 주고 있다. 대부분의 급식소에서는 전통적으로 모든 재고 품목에 대해 동일한 재고 관리 시스템을 도입하여 왔다. 그러나 점차로 다양해지는 전 품목에 대해서 일일이 관리하는 복잡한 절차를 가급적 배제하면서 보다 효율적인 관리를 행할 수 있는 관리 시스템을 적용할 필요성이 인식되었다. 이와 같은 필요에서 자재의 구매 내지 재고 관리 시 물품의 가치 도에 따라 차별적으로 관리하는 방식을 ABC 관리 방식이.. 2024. 2. 6.
재고관리 재고관리 재고란 “물품의 흐름이 시스템 내의 어떤 지점에 정체되어 있는 상태를 시간적 관점에서 파악한 관리 개념”이다. 전체 자산 중에 재고 자산이 차지하는 비중은 업종에 따라 다르지만, 우리 나라의 경우 평균 20% 정도의 재고 자산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들 재고 자산의 유지 관리비 또한 상당하다고 조사되었다. 재고 관리와 관련된 비용으로는 구매단가, 주문비용, 보관 및 유지비용 및 재고 품절로 인한 손실비용 등이 포함된다. 그러므로 1년간의 모든 재고 품목에 대해 발생하는 각각의 비용의 합이 연간 총재고 비용이 된다. 오늘날 대부 기업에서 이와 같이 막대한 재고 비용을 지출하면서도 재고 자산을 보유하고 있는 것은 그것이 필요한 시기에, 필요한 수량을 필요로 하는 곳에 조달하기 위함이다. 급식업체 또는.. 2024. 2. 5.